◇ 24절기의 우수
◇ 우수의 뜻
◇ 우수에 먹는 음식
◇ 우수 관련 속담
◇ 우수의 풍속
◇ 우수의 유래
우수(雨水)는 24절기 중 2번째 절기로 첫 번째 절기인 입춘(2월 15일)과 경칩(3월 6일) 사이인 2월 19일 경이다.
올해(2023년)의 우수는 2023년 2월 19일이다.
우수는 음력으로는 정월(1월) 중기이며 입춘으로부터는 15일 후가 되는 날이며, 태양의 황경이 330도의 위치에 올때이다.
우수는 입춘과 함께 겨울의 마무리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이기도 하다.
꽃샘추위는 3월에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이미 우수가 되면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기운이 돋기 시작한다.
'우수'라는 말은 '빗물'이라는 뜻이며, 눈 대신 비가 내리고 강의 얼음이 녹아 물이 흐른다는 의미에서 유래하였다.
겨울철 추위가 풀려가고 눈, 얼음, 서리가 녹아 빗물이 되고 한파와 냉기가 점차 사라지며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절기이지만 24절기가 중국 화북지역에서 유래된 것이기에 한반도의 기후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우수가 돼도 아침 기온이 영하 5도 아래로 떨어지는 추위가 계속 되거나 눈이 쏟아지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다.
그래도 우수 절기가 지나면 영하 10도 안팎의 한파도 더 이상 찾아오지 않고 꽃이 열리는 나무에 겨울눈이 생기며
얼었던 땅이 녹는 등 봄으로 서서히 접어들기 때문에 겨울은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 한다.
또한 이상 고온이 오면 봄 날씨를 보이기도 한다.
우수는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과 겹치기도 한다. 봄을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봄에 먹는 제철음식이 주류이다.
우수에 먹는 음식으로는 오신채, 견과류, 생선 등이 있다.
불교용어인 오신채(五辛菜)는 매운 맛을 내는 채소를 말한다. 파, 마늘, 부추, 달래 등이다.
이들 음식은 기운을 돋우고 혈액순환을 잘되게 하며 성인병 예방에 좋다고 한다.
견과류는 환절기 면역력 증강에 좋은 음식이다.
이러한 음식에는 땅콩, 아몬드, 피스타치오, 은행, 잣 등이 있다.
생선으로는 겨울철에 먹지 못했던 삼치, 고등어 등이 있다. 이들 생선은 오메가 3와 DHA가 풍부하여 고혈압, 두뇌 발달, 최매예방과 암예방 등에 좋다.
우수가 되면 겨울 추위가 끝나가고 봄바람이 불어온다는데서 대동강 물이 풀리게 되는 날이라는 속담이 있다.
우수 뒤에 얼음같이 라는 말도 있다. 이는 슬슬 녹아 없어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수라는 절기를 잘 표현하는 속담 중의 하나이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일을 본격적으로 준비할 때이기 때문에 우수는 농사 채비를 시작하는 날이다.
즉 한해 농사의 첫걸음을 떼는 시기이다.
옛 농민들은 새해의 농사 계획을 세우고 한 해 농사에 사용할 좋은 씨앗을 고른 다음, 얼었던 땅을 고른다.
병충해 예방을 위해 논과 밭의 해충이나 알을 태워버리는 쥐불놀이등을 하며, 타다 남은 재는 다음 농사를 위한 거름으로 사용한다.
중국의 사천지방에서는 만물이 소생하는 절기인 우수를 맞아 자식들이 탈없이 잘 자라기를 바르는 마음에서 자식들의 성장을 도와줄 대부모를 찾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사위가 장인 장모에게 딸을 잘 키워준 것에 대한 보답으로 항아리 고기절임 등을 선물하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예전의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 등의 문헌에서는 우수이후 첫 5일간은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다음 5일 동안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초목에 싹이 튼다고 하였다.
이 말의 의미는 수달은 강이 풀리면 물위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하고, 추운 지방의 새인 기러기는 봄기운을 피하여 다시 추운 북쪽으로 날아가고 그러면 어느새 봄은 완연하여 초목에 싹이 트는 것이다.
24절기 경칩, 개구리도 잠에서 깨어나는 (0) | 2023.02.27 |
---|---|
임대사업자 부가세 신고방법 따라하기 (0) | 2023.02.18 |
발렌타인데이의 유래, 알고보면 슬픈날 (0) | 2023.02.12 |
코세정 제대로 하는 법 (0) | 2023.02.08 |
입춘 날짜와 날씨, 풍습, 음식 (1) | 2023.01.26 |
댓글,